일상2011. 2. 26. 09:58

저번 포스트에서 아이패드보다 안드로이드 태블릿이 끌리는 이유를 조목조목 적어보았었는데 모토롤라 XOOM의 실물을 만져본 뒤로 구매를 망설이게 되었고 일단 다음주 아이패드2의 발표를 기다려 보기로 했다. 그 이유는..


1. 전체적으로 불안정하고 크래쉬가 잦다.

디스플레이된 모토롤라 XOOM을 만져보는 10여분동안에도 기본앱들의 크래쉬가 여러 번 발생했다. 안드로이드가 꽤 성숙하여 3.0 버전에 이르렀지만 태블릿에 최적화된 버전으로는 처음이다보니 안정성의 문제가 있어 보인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되겠지만 베타테스터가 되는 기분은 썩 좋지 않다. 


2. 웹브라우징이 아이패드만큼 부드럽지 않다.

기존 아이패드보다 2배 빠른 프로세서, 4배 많은 메모리를 가지고도 허니콤의 웹브라우징 경험은 꽤 실망스러웠다. 확대/축소 후 화면이 다시 렌더링되기까지 1초 이상이 걸리는 경우가 많았고, 그 와중에 아래과 같이 특정 사각 영역이 갱신되지 않는 현상이 꽤 자주 일어났다. 아이패드도 그림이 많고 복잡한 사이트일수록 로딩이 느려지긴 하지만, 허니콤은 훨씬 심한 수준이었다.



3. 화면전환이 충분히 부드럽지 못하다.

홈 화면이나 앱 선택 화면에서 좌/우 페이지로 이동할때 충분히 부드럽지 못했다. 물론 꽤 부드러웠지만, 초당 24프레임짜리 영상을 보다가 초당 12프레임짜리 영상을 볼 때의 차이처럼 아이패드보다 확실히 사용감이 떨어졌고, 이 차이는 유튜브나 메일 위젯 같은 것이 로딩되고 있을 때 더욱 두드러졌다. 익숙해지면 참을만한 수준이고 고해상도와 위젯에 대한 비용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듀얼코어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4. 화면 가로/세로(Landscape/Portrait)모드 전환이 아이패드보다 1초 이상 느리다.

아이패드는 화면을 회전하는 즉시 반응하는 반면 XOOM은 화면을 돌리고 1.5~2초가 지나서야 반응했다. 일부러 그런걸 수도 있겠다만 이런 사소한 사용감의 차이가 사람들이 애플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5. PDF/PPT 파일 등을 브라우저 자체에서 열지 못한다.

학생 신분이라서 PDF나 PPT로 된 발표자료/논문 등을 보는 일이 많은데, 웹상에 있는 PDF, PPT, Word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우선 다운받은 뒤에 Documents to go와 같은 별도의 앱을 이용해서 열어야 한다. 잠깐 확인해야 할 것까지 모두 다운받아야 하는건 상당히 불편하고, 뷰어 앱들도 아이패드에 비해 느렸다.


6. 기존 안드로이드 앱들을 사용하는 것은 힘들었다.

아이패드는 기존 아이폰 전용 앱들을 아이폰만한 화면이나 2배 확대한 화면으로 보여주어서 약간 불편하긴 해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었지만 XOOM에서는 몇몇을 제외하고는 기존 안드로이드 앱들이 보기싫게 늘어나거나, 화면 구석에 아주 작게 박혀 있거나, 크래쉬되었다. 이것들도 곧 개발자들이 신경을 써주겠지만.. 당장은 부족한 앱들 때문에 고생할 것 같다.



그래서 참 망설여지고 하루에도 몇번씩 맘이 왔다갔다 한다-.- 휴






Posted by jongwook
일상2011. 2. 18. 17:34

아이패드가 나오기 직전인 지난 4월초 나는 아이패드라는 문명의 이기에 적지 않은 돈을 투자하기 위한 자기합리화를 했었다. 그로부터 몇달 아이패드를 정말 잘 활용했고 상당히 만족하면서 사용했지만 한국에 정발되기 직전 새거 가격을 준다는 친구의 유혹에 끌려 팔아버렸다. 

그로부터 몇 달간 나는 태블릿 금단현상에 시달렸지만 이미 신제품 주기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아이패드를 살 동기부여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 1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개되기 시작한 안드로이드 허니콤 태블릿에 끌리기 시작했다. 1년 전에는 "애플이니까"를 이유로 아이패드를 주저없이 선택했는데,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태블릿에 끌리는 이유를 적어보려고 한다. 이번엔 저번보다 더 많다.

물론 난 여전히 애플을 엄청 좋아하고 아이폰과 맥북에어를 매일같이 끼고 산다. 하지만 맘에 안드는건 안든다고 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1. 위젯을 이용한 홈 화면의 공간활용성이 뛰어나다

홈화면에 그저 아이콘들이 아닌 날씨나 뉴스 위젯 등이 떠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안드로이드 진영이 내세우는 주요 장점이었는데, 화면이 극히 제한되어 있는 스마트폰보다 훨씬 큰 10인치 화면에서 이 차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아이패드 홈 화면에는 한 줄에 겨우 5개의 앱이 놓일 수 있는데, 애플도 나름의 디자인 철학이 있겠다만 아이콘 8개를 나란히 놓아도 전혀 이상할게 없는 위 화면을 보면 아이패드는 정말 너무한다 싶다. 아이패드에서 새 메일들, 일정, 날씨 등을 확인하려면 화면을 엄청 왔다갔다 해야 하지만 허니콤 태블릿은 걍 홈 화면에 다 떠 있다.


2. 더 높은 해상도와 16:10 화면비율의 큰 스크린

아이패드로 pdf 논문을 읽을 때 가장 아쉬웠던 점이 해상도였다. 아이폰4에서처럼 해상도가 2배가 되어서 나오길 원했었지만 정황상 그럴 것 같지는 않고, 애매하게 1280*960 정도로 커질 것 같지도 않다. 16:10 비율의 1280*800 화면은 문서 읽기에도, 인터넷하기에도, 영상을 보기에도 무난하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화면비율이기도 하다.


3. 크롬 브라우저와 플래시 지원

같은 웹킷 렌더링 엔진을 쓰는 사파리와 크롬이지만 나는 맥의 기본 브라우저인 사파리가 아닌 크롬을 쓴다. 기존 안드로이드와는 다르게 허니콤에서는 데스크탑용 크롬과 비슷한 탭브라우징 환경이 제공된다. 간단한 로그인 때문에 매번 가상 키보드를 두드릴 필요가 없어지도록 비밀번호 저장 기능이 제공되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아이폰/아이패드에는 그런 거 없다.


잡스형은 웹표준, 배터리 효율과 성능의 문제로 어도비와 플래시를 신랄하게 까며 iOS 제품에 플래시가 들어가는 일이 없을 것임을 천명했다. 아이패드를 사기 전엔 나도 동의했지만, 가끔 플래시 때문에 근처의 다른 컴퓨터를 찾아야만 했던 일과 넥서스원에서는 아이유 플짤이 걍 재생되는 것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모토롤라 Xoom은 2GHz 의 컴퓨팅 파워에 1GB 메모리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2000년대 초반 플래시가 널리 퍼지고 플래시 게임이 유행하기 시작할 때의 데스크탑 사양을 웃돈다. 어도비도 최적화를 위해 그간 부단한 노력을 했고, 무엇보다도 배터리 닳고 버벅이는게 싫으면 사용자가 설치를 안하면 되는것이지 왜 기계 차원에서 할 수 있는걸 막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4. 아이폰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알림과 멀티태스킹 기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아이패드의 알림 기능은 아이폰과 완전히 똑같고, 그래서 똑같이 불편하다. 다른 작업을 하고 있다가 딩동 하고 알림 메세지가 뜨면 여간 성가신게 아니다. 여러 알림이 와서 이전 내용을 놓치면 어느 앱에서 알림이 왔는지 화면을 휘저어가며 빨간 표시를 찾아야 한다. 반면 안드로이드는 그간 도착한 알림들을 아래와 같이 한 화면에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허니콤 태블릿은 이 화면을 화면 우하단에서 팝업되도록 해서 전혀 성가시지 않으면서도 편리한 알림 기능을 구현했다.




멀티태스킹 기능도 마찬가지이다. 큰 화면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많지만 화면 전환을 위해 할 수 있는건 아이폰과 똑같이 홈 버튼을 두번 누르면 나오는 아이콘을 고르는 일. 마지막 화면의 스크린샷을 보고 고르는 것은 탈옥을 해야만 가능하다. 최근 제스쳐를 이용해서 화면전환을 하는 기능을 테스트한 적은 있다만 그냥 스크린샷 좀 보게 해주면 안되려나?


5. 안드로이드의 성능 자체도 꽤 좋아졌다.

아이패드가 나올 당시에는 안드로이드 2.1이 최신버전이었고, 아이폰보다 좋은 사양의 하드웨어를 갖춘 스마트폰들도 반응성은 훨씬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곧 2.2 프로요 버전이 나오면서 비약적인 성능향상이 이루어졌고, 최근 넥서스S와 함께 발표한 2.3 진저브레드는 사용감이나 반응성이 아이폰 수준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

이 태블릿들에는 안드로이드 3.0 허니컴 버전이 탑재되며, 여러 비디오들을 봐도 이제는 안드로이드의 자체의 성능이 애플을 따라잡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6. 애플만의 묻지마 동기화 개념은 태블릿에는 맞지 않는 것 같다.

기존 mp3를 써오던 사람이 아이팟이나 아이폰을 사용하게 되고 가장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바로 아이튠즈를 통한 동기화의 개념일 것이다. 음악 파일 추가는 무조건 아이튠즈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고, 아이팟 전체의 백업이 컴퓨터에 보관되어 있어야 해서 다른 컴퓨터에서 음악을 하나 추가하려고하면 전부다 지우고 넣는 수밖에 없다. 

이정도야 뭐 그러려니 하고 적응하면 참을만 하고 파일관리에 신경 끌 수도 있어서 편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태블릿의 경우 이야기가 다르다. 랩탑을 대체할만 한 제품인데도 동영상 하나 추가하는 데에 싱크까지 신경써야 하고, 16~64GB나 되는 용량을 놔두고 USB 대용으로 쓰기도 간단하지 않다는 건 확실히 문제가 있다.


7. 유일하게 출시일이 가시권 안에 있다.

아이패드2도 삼성 갤럭시탭 10.1인치도 매력적인 기기가 될 것임엔 틀림없지만 학업, 취미, 연구 등 나의 모든 생활이 너무나도 태블릿을 원하고 있다. 하지만 Motorola Xoom 만이 유일하게 발표일이 다음 주 목요일로 정해져 있고, 다른 제품들은 적어도 2~3개월 늦게 나올 분위기이다. 그 동안 이것저것 알아보느라 소비할 시간이나 받게 될 스트레스를 생각해서 그냥 사게 될 것 같다.





Posted by jongwook
자료2010. 12. 17. 16:22


10여년 전에 쓰여진 글. 미국인의 입장에서 쓰여진 글이지만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는 않다고 본다. 


원문은 http://wuphys.wustl.edu/~katz/scientist.html




Jonathan I. Kats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과학자가 되고 싶나요? 자연의 미스테리를 밝혀내고 실험과 계산을 통해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싶으세요? 때려치우세요!


과학은 신나고 즐겁습니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기쁨은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죠. 여러분이 똑똑하고 목표를 향해 열심히 할 수 있다면 대학교에서 과학을 전공하는 것도 좋아요. 하지만 대학교를 졸업할때까지만입니다. 졸업 후에는, 현실과 마주해야 해요. 과학을 공부하러 대학원에 가는 것은 생각조차 하지 말라는 거죠. 대신 다른것을 하세요: 의대, 법대, 컴퓨터공학, 아니면 다른 뭔가 재밌어 보이는걸로.


왜 물리학과 교수인 내가 여러분의 과학을 향한 목표를 접게 하려 할까요? 제가 박사학위와 정년보장을 받은 1973년과 1976년으로부터 시대가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과학을 하는 것은 더이상 괜찮은 인생이 될 수 없습니다. 과학을 하러 대학원에 가는 것은 여러분의 호기심과 창의력을 발휘해서 과학 연구를 하는 삶에 대한 기대에서겠죠. 하지만 여러분은 무조건 실망할 것이고, 그 때는 이미 다른 진로를 선택하기엔 늦었을 것입니다.


미국의 대학교들은 산업에서 원하는 것보다 두 배로 많은 박사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공급과잉인 시장에서 상품의 가격은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박사 과학자의 경우 이 가격, 즉 임금의 하락으로 인해 수 년 동안 '대기'하고 있는 포닥을 하게 되죠. 정규직은 시간이 지날수록 임금이 올라가지만, 요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박사학위 획득 후 2년정도면 직장을 찾을 수 있었던 25년전과 달리 5, 10년 또는 그보다 긴 시간동안 포닥으로 일하게 됩니다. 포닥이라는 자리는 정년보장이니 하는 거에 대한 존중이 없어요. 더 자세한 사항은 Young Scientist's Network나 Washington Monthly의 2001년 5월호를 참고하길 바래요


우리 학과의 조교수직 후보인 두 사람의 예를 들어 드릴게요. 한 명은 37살이고, 박사학위를 받은 지 10년이 지나도록 정규직을 구하지 못했어요. 다른 한명은 35살이고 모두가 이 사람을 정말 똑똑하다고 생각하지만 박사학위를 받은 지 7년이 지났습니다. 이들은 이제서야 겨우 교수직을 제의받았고, 그나마 이것도 6년동안 고생을 더 해서 정년보장을 못 받으면 또 2년단위로 학교를 옮겨다녀야하는 입장이죠. 좀더 최근의 예로 39살의 조교수직 후보가 있습니다. 이 사람은 35개의 논문을 썼죠. 대조적으로 의사는 평균적으로 29살에 사업을 시작하고, 변호사는 25살에 시작해서 31살이면 파트너를 구합니다. 박사학위가 있는 컴퓨터공학자는 27이면 아주 좋은 직업을 구할 수 있죠. (컴퓨터공학은 박사학위를 할 만한 정도로 고학력자의 수요가 높은 몇 안되는 분야입니다.) 과학으로 성공하려는 목표와 의욕이 있는 똑똑한 사람이라면 이런 다른 직업으로도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포닥들의 연봉은 생물학이 27,000달러, 물리학이 35,000달러부터 시작하고, 박사과정 학생들은 이것의 반도 못받죠. 이 정도로 한 가족을 유지할 수 있나요? 작은 월세집에 사는 커플이 겨우 살 수 있을 만한 정도입니다만, 나는 매번 집을 옮겨다니는것에 실증난 와이프를 떠나보낸 물리학자를 알고있습니다. 30대가 되면 돈이 더 필요할 거에요. 자녀들을 괜찮은 학교에 보낼 수 있는 중간 정도의 삶을 살 수 있는 집이 필요하겠죠. 과학은 직업이지, 금욕맹세같은게 통할 수 있는 종교가 아닙니다.


물론 여러분은 부자가 되려고 과학을 하는게 아니겠죠. 그래서 의사나 변호사가 과학자들(졸업하자마자 괜찮은 직장을 찾은 운 좋은 경우)보다 대충 두세배나 많이 버는데도 의대나 법대에 가지 않은 거겠죠. 나도 그런 결정을 했습니다. 나는 재미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리고 싶어서 과학자가 되었지만, 여러분은 이 자유를 누리지 못할꺼에요. 포닥이 되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로 일을 하고 있을 것이고 이건 독립적인 과학자가 아니라 그냥 기술자처럼 대우받을 뿐이죠. 결국 여러분은 이 바글바글한 과학계에서 쫒겨나고 말 것이에요. 그러고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될 수는 있겠죠. 하지만 기왕 그럴 바엔 이렇게 과학자들의 비극을 몸소 체험하지 말고 그냥 22살부터 프로그래머를 하는건 어떨까요? 과학에 시간을 많이 허비할수록 벗어나기가 어려워지고 다른 회사에서도 여러분을 채용하려는 생각이 점점 없어질것입니다.


어쩌면 여러분의 재능이 정말 대단해서 이 "포닥 함정"을 피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어떤 대학교(물리학으로는 학교 말고는 취직할 곳이 거의 없죠)는 여러분의 재능에 완전 감동받아서 졸업한지 2년만에 정년이 보장된 교수로 취직을 시켜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과학계의 전반적인 소득 감소로 인해 정말 많은 수의 똑똑한 사람들이 포닥으로 오랜 시간 남게 됩니다. 좋은 성적과 추천을 받아 교수가 된 사람들조차도 연구 경쟁이 정말 어렵고, 최소한 기대했던것과 다르고, 많은 고생을 하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죠.


자, 이제 결국 정년보장이 되는 직업, 이를테면 교수직을 찾았다고 칩시다. 이제 구직을 위한 고생은 연구비를 따내기 위한 걱정으로 바뀝니다. 여기에는 또 바글바글한 과학자들이 있어요. 이제 연구계획서를 쓰는데에 연구보다 많은 시간을 쓰게 되죠. 여러분의 경쟁자들에 의해 연구계획서가 평가되기 때문에, 여러분의 호기심을 해결해줄 수 있는 중요한 과학 문제에 대한 계획서보다는 쏟아지는 비판들을 막아낼 뿐인 계획서를 쓸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두 가지는 상당히 다릅니다. 여러분이 과거에 성공했던 것들은 이미 끝난 일들이기에 쓸 수 없고, 참신한 아이디어들은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쓸 수 없죠. 연구계획서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었다가는 망한다는 것은 거의 속담같은 말이 되었습니다. 이 아이디어가 쓸모있을거란 걸 아무도 모르는데도 그걸 가지고 돈을 달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을 리가 없죠. 결국 여러분은 목표했던 직업을 가진 뒤에도 이게 진정 원했던 것이 전혀 아니라는걸 알게 됩니다.


그래서 어떡할까요? 젊은 사람들(아직 과학계에서 정규직을 갖고 있지 않는 사람)은 다른 진로를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다가오는 한없는 시련과 실망을 피할 수 있어요. 젊은 미국인들은 대체로 깨어 있고, 과학으로는 살만한 중산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피하고 있습니다. 아직 여러분도 그러지 않았다면, 빨리 깨어있는 사람이 되길 바래요. 더 불쌍한 인도와 중국 사람들을 위해 대학원을 남기고 떠나주세요. 나는 마약보다 물리학때문에 인생을 망친 사람들을 더 많이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과학계의 지도자라면 빨리 박사과정 학생들을 조금만 뽑도록 학교와 정부를 회유하길 바래요. 대학원에 과도한 투자를 한 결과 과학자들이 너무 많아졌어요. 정부는 전문직의 수요와 공급을 맞춰주거나, 적어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주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과학을 했어야 할 똑똑한 사람들은 다른 직업을 찾는 현명한 선택을 해버리고 대학원들은 덜 똑똑한 미국인들과 미국 비자에 현혹된 외국인들로 채워지고 있어요.

Posted by jongwook